[South China Morning Post] 남중국해 분쟁: 중국, 공해 충돌에도 불구, 양자 관계를 유지할 수 있을까? > 언론 속 이어도

본문 바로가기
          • 여기는  대한민국 이어도  입니다
          • IEODO


             

            [South China Morning Post] 남중국해 분쟁: 중국, 공해 충돌에도 불구, 양자 관계를 유지할 수 있을까?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31회 작성일 24-07-07 11:44

            본문

            South China Sea disputes: can Beijing keep it bilateral despite high-seas clashes?

            Shi Jiangtao, Published: 6:00am, 2 Jul 2024


            남중국해 분쟁: 중국, 공해 충돌에도 불구, 양자 관계를 유지할 수 있을까?

            시장타오 (Shi Jiangtao), 2024.7.2. 6:00am 발행 



            8abff4d0c398ae8d0756c4a782eb59d6_1720320088_943.jpg
            일러스트레이션: 헨리 웡 


            남중국해에서 중국과 필리핀 선박 간의 충돌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지역적, 더 나아가 세계적인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는 남중국해 분쟁을 양자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베이징의 선호에 도전하는 것입니다.

            관측통들은 베이징이 남중국해 분쟁의 국제화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고 전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원이 풍부한 이 해역에 대한 광범위한 영유권 주장을 강력하게 고수하는 베이징의 태도는 우려와 비판, 심지어 반감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중국 사회과학원의 한 고위 연구원은 익명을 요구하며 "남중국해 문제는 오래전부터 국제화되어 왔으며, 이는 분명 베이징이 원하던 바가 아니다. 하지만 이것이 우리가 살아가야 할 새로운 현실이다"라고 말했습니다.

            필리핀의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대통령은 중국에 친화적인 전임자 로드리고 두테르테와는 달리 중국의 해양 공세에 맞서기 위해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을 추구하며 미국과의 방위 동맹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마닐라는 또한 일본, 호주, 인도, 유럽 연합 등과의 안보 파트너십을 확장하고 있으며, 남중국해에서 중국의 공격적인 행위에 대한 항의를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더욱 걱정스러운 점은 워싱턴의 주도 아래 아시아, 유럽 및 그 외 지역의 많은 국가들이 인도-태평양 전략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남중국해로 군함을 파견하여 순찰과 훈련을 진행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미중 갈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남중국해 분쟁은 G7 및 NATO 정상 회의와 다양한 국제 안보 회의에서 지속적으로 언급되고 있습니다.

            G7 정상들은 6월 14일 연례 정상 회의 이후 성명에서 "남중국해에서 중국의 군사화와 강압적인 활동, 그리고 위협 행위를 반대한다"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필리핀 선박에 대한 위험한 기동과 물대포 사용을 증가시키는 중국의 행위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CASS 연구원은 "중국의 관점에서 남중국해 문제는 단순한 해양 분쟁이 아니라 떠오르는 강대국과 기존 강대국 간의 경쟁의 일환"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미국이 주도하는 남중국해 문제의 국제화 노력과 마닐라의 외부 세력 구애가 중국을 밀어붙이고 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전문가는 해양 사건의 빈도와 격렬함이 크게 증가하면서 미국과 그 동맹국이 연루될 수 있는 우발적 충돌의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6월 18일 미국 국무부는 중국의 "점증하는 무책임한 행동"을 비난하며 1951년 조약에 따라 필리핀을 방어할 의무가 있음을 재차 경고했습니다. 

            이는 남중국해 분쟁 해역에서 또 다른 중국과 필리핀 선박 간의 충돌이 발생한 지 하루 만에 나온 것입니다.


            8abff4d0c398ae8d0756c4a782eb59d6_1720320088_8846.png 

            중국과 필리핀 선박이 베이징의 새로운 해안경비대법에 따라 첫 번째 사건으로 충돌했습니다. 


            마닐라는 중국 해안경비대가 필리핀 군사 전초기지로의 보급 임무를 차단하는 과정에서 "공격적이고 무모한" 행동을 했다고 비난했으며, 이 과정에서 8명의 선원이 부상을 입고 2척의 고무보트가 손상되었다고 전했습니다. 

            베이징은 이번 충돌의 책임이 "전적으로 필리핀 측에 있다"라고 주장하며 중국 해안경비대의 대응은 "합리적이고 법적이며 전문적"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현재 긴장이 크게 고조된 상황에서, 우리는 경계심을 유지하고 위기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사고가 발생할 경우, 군사 핫라인을 개방하여 상황이 통제 불능 상태로 치닫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전문가들은 상황이 대체로 통제되고 있다고 언급하며, 모든 당사국이 심각한 부상이나 사망이 없어야 한다는 선을 분명히 인식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나타샤 쿠르트 킹스 칼리지 런던 국제 평화 및 안보 담당 선임 강사는 남중국해의 불안정한 상황을 냉전식 미중 대립의 맥락에서 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중국은 인도-태평양에서 미국의 결의와 헌신을 시험하고 있으며, 미국이 이스라엘과 우크라이나 문제로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을 이용해 올해 말로 예정된 미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8abff4d0c398ae8d0756c4a782eb59d6_1720320088_9151.png 

            마르코스 주니어(Marcos Jnr)는 마닐라가 중국과의 남중국해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외교를 활용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습니다. 


            루시오 블랑코 피틀로 III 아시아 태평양 진보 재단 연구원은 중국의 지역 분쟁 접근 방식이 국제적인 반발을 불러일으켜, 당사자 간에 해결하려는 중국의 바람에 반하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국제적인 압력은 때로는 강해지기도 하고 약해지기도 하며, 결국에는 극복할 수 있다는 계산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중국은 남중국해의 거의 전부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고 있으며, 2016년 국제 중재 재판소는 필리핀의 손을 들어주며 중국의 역사적 권리를 부인했지만, 베이징은 이 판결을 거부하고 중재에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베이징은 남중국해 문제에 대해 양자적 접근 방식을 주장하며, 이를 통해 특정 분쟁을 경쟁 당사자와 논의하면서도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과는 지역 안정 유지를 논의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미국과 그 동맹국들은 남중국해에서의 중국의 회색 지대 활동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있으며, 최근 중국 해안경비대의 물대포 사용과 경미한 충돌 사건들이 이러한 우려를 더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스웨덴 국방 장관 팔 욘손은 중국의 분쟁 해역 침범이 지역 안정성을 훼손하고 글로벌 안보를 위협한다고 비난했습니다.

            우크라이나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가 마닐라를 깜짝 방문하여 필리핀을 지지하며 남중국해 분쟁과 러시아의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 사이의 유사성을 강조했습니다. 


            8abff4d0c398ae8d0756c4a782eb59d6_1720320088_8457.png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필리핀 대통령과 '영토 보전 및 주권'을 논의하고있다. 


            젤렌스키는 필리핀의 GMA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러시아가 이 전쟁에서 우리를 완전히 점령하면, 다른 대륙에서도 이 전쟁이 일어날 것이라며 이는 큰 비극이라고 말했습니다.

            베이징의 인민대학교 국제관계학 교수인 시 인홍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남중국해 및 동아시아 상황 간의 빈번한 비유에 대해 중국이 분명히 경계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나토 사무총장 옌스 스톨텐베르그는 4월에 오늘날 우크라이나에서 일어나는 일이 내일 남중국해에서 일어날 수 있다며 중국에 맞서기 위한 유럽-아시아 안보 조치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일본의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필리핀 및 지역의 다른 유사 입장국에 군사 지원을 제공하면서 오늘의 우크라이나, 내일의 대만이라는 말을 반복적으로 언급했습니다. 

            이는 중국 국영 매체에 의해 위험한 서사로 비난받았습니다. 시 교수는 필리핀과 우크라이나가 중국에 대한 실망을 공유하며 서로 가까워진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시 교수는 중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젤렌스키를 비난하지는 않았지만, 그에 대한 불만이 컸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워싱턴의 윌슨 센터에서 글로벌 연구원으로 활동 중인 조지 메이슨 대학교 명예 교수인 마크 카츠는 젤렌스키의 방문이 필리핀에 대한 지지와 함께 우크라이나에 대한 더 큰 지원을 얻기 위한 시도였다고 말했습니다.

            시 교수는 중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젤렌스키를 비난하지는 않았지만, 그의 방문에 대해 불만이 컸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마크 카츠 조지 메이슨 대학교 명예 교수는 젤렌스키의 방문이 필리핀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고, 우크라이나에 대한 더 큰 지원을 얻기 위한 시도였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는 젤렌스키가 중국을 두 나라의 공통의 적으로 묘사하려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중국은 남중국해에서 필리핀과 갈등을 빚고 있으며, 러시아의 전쟁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필리핀과 우크라이나는 중국과 러시아에 대항하여 협력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는 것입니다.

            카츠 교수는 베이징이 고압적인 접근 방식을 재고하고, 필리핀을 미국의 종속국으로 보는 것을 중단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워싱턴이 마닐라를 통제하지 않으며, 남중국해에 대한 중국의 정책이 오히려 필리핀을 워싱턴과 가까워지게 만들었다고 말했습니다.

            피틀로 연구원은 마르코스 주니어 대통령의 젤렌스키 환영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강한 연대와 동정심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이는 필리핀의 유럽 내 입지를 강화하고, 경제 및 안보 협력을 다각화하려는 노력과 일치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마르코스 대통령의 행동이 유럽 외교, 경제 및 안보 지원을 얻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며, 필리핀을 국가 경계의 불가침성을 수호하는 선봉에 세우려는 시도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피틀로 연구원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국의 남중국해 분쟁을 단순 비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경고했습니다.

            러시아는 주요 에너지 공급국으로 동부 이웃 국가들 사이에서 경제적 영향력이 크지만, 중국은 여전히 동남아시아 최대 무역 파트너로 남아 있습니다. 

            중국과 서방 간의 긴장이 고조됨에 따라, 더 많은 중국 무역과 투자가 이 지역으로 유입되고 있습니다.

            그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다자간 남중국해 분쟁은 직접 비교하기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주요 행위자가 외교적 해결에 실패하고 무력을 사용하는 사례는 불길한 경고 신호로 간주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 전직 외교관인 시장타오 (Shi Jiangtao)는 10년 넘게 The Post에서 중국 기자로 일하고 있으며, 중국의 정치, 사회, 환경 발전에 주요 관심 주제로 취재하고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단법인 이어도연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