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nk China] 남중국해의 장기적인 불안정성 > 언론 속 이어도

본문 바로가기
          • 여기는  대한민국 이어도  입니다
          • IEODO


             

            [Think China] 남중국해의 장기적인 불안정성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603회 작성일 24-02-18 22:36

            본문

            [Big read] Protracted turbulence ahead in the South China Sea

            남중국해의 장기적인 불안정성 

            13 Feb 2024

            By Wong Siew Fong, Correspondent, Lianhe Zaobao(联合早报)

            2024년 2월 13일 황쇼펑 기자, 연합조보(联合早报) 특파원  


            동남아시아 해상 분야에서 안정을 유지하고 증진하기 위한 아세안 외교장관들의 최근 성명에 따르면, 남중국해에서 긴장이 고조되면서 지역의 평화, 안전, 안정을 저해할 수 있는 상황이 다시 앞으로 나왔다. 

            남중국해의 상황은 앞으로 몇 달 동안 어떻게 발전할 것인가? 다가오는 미국 대통령 선거가 큰 영향을 미칠 것인가?


            2023년 마지막 주말에 아세안 외교장관들은 동남아시아 해상 분야에서 안정을 유지하고 증진하기 위한 드문 성명을 발표하면서, 

            회원국들은 "지역의 평화, 안전, 안정을 저해할 수 있는 남중국해의 최근 발전에 대해 우려를 가지고 밀접하게 주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성명은 지난해 남중국해에서 긴장이 고조되면서 야기된 불안감을 드러내고 있으며, 이 요인이 2024년에도 지역의 가장 중요한 안보 문제 중 하나로 계속될 것임을 시사한다.


            강경한 입장 필리핀과 중국 사이의 토마스 제2초소에서의 앙금이 남중국해의 주요 긴장 원인이 되었으며, 지난해 이 지역에서 양측 사이에 전 세계의 관심을 끈 적어도 8건의 사건이 발생했다. 

            1월 31일 중국 해경은 스카보로 초소로 침입한 4명의 필리핀 인원을 경고하고 쫓아냈다고 보고했으며, 필리핀은 주권이 분쟁이 되는 미스치프 산호초 주변에서 증가하는 중국의 군함과 군용 선박의 존재에 놀라움을 표했다. 

            많은 분석가들은 중국이 지난해 남중국해에서 간접적으로 필리핀에 압력을 가하면서 회색 지대의 행동을 계속했으며, 남중국해에서 직접적인 충돌과 긴장 고조를 신중하게 피했다고 믿고 있다. 

            싱가포르의 이세아스-유소프 이샤크 연구소의 방문 선임 연구원인 아리스 아루가이(Aries Arugay)는 연합조보(联合早报)와의 인터뷰에서 

            이러한 추세가 2024년에도 계속될 것이며 "양측 모두 기존의 강경한 입장을 재조정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으로부터 격렬한 해상 경쟁을 받고 있는 필리핀은 남중국해에서 자신을 강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으며, 이에는 외부 당사자와의 안보 협력을 적극적으로 강화하는 것이 포함된다. 

            2023년 3월 미국과의 2014년 강화된 방위 협력 협정을 확대하기로 합의한 후, 그 해 하반기에는 미국의 동맹국과의 협력을 급격히 늘렸다. 

            필리핀은 9월과 11월에 각각 캐나다와 호주와 남중국해에서 공동 군사 훈련을 실시했으며, 전자는 해상 보급, 후자는 공동 해상 및 공중 순찰을 포함했다. 

            중국에 대한 경고는 명백하다.



            fba771e4fc392f42c5309d130e98b48b_1708263142_4365.jpg
            [필리핀 해안 경비대의 아드미랄 Ronnie Gil Gavan(오른쪽에서 두 번째)이 2024년 1월 11일 마닐라에 위치한 필리핀 해안 경비대 본부에서의 예의 방문 중인 독일 외무장관 

            Annalena Baerbock(왼쪽에서 두 번째)과 악수하고 있다. (사진: Jam Sta Rosa/AFP)] 


            필리핀, 외부와의 협력 노력 강화

            필리핀은 2024년에 미국 및 그의 동맹국들과의 해군 협력을 계속 강화할 것이라고 한다. 

            필리핀 국방부 장관 길버트 테오도로(Gilberto Teodoro)는 이번 달에 필리핀이 미국 및 기타 보안 파트너들과의 방위 동맹을 추구하고 있으며, 이는 남중국해에서의 자원 탐사를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2024년 1월 11일 필리핀을 방문한 아날레나 베어보크(Annalena Baerbock) 독일 외무장관은 필리핀 해안 경비대의 마닐라 본부를 방문하고 순찰선에 탑승하면서, 유럽에서 남중국해 상황에 대한 우려를 표현했다. 

            테오도로 장관은 2024년 1월 16일에 필리핀이 2024년 1분기에 일본과 상호 접근 협정(RAA)을 체결하려고 하며, 이는 양국의 영토에서 병력 배치를 허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협상은 2023년 11월에 시작되었으며, 협정이 이루어진다면 필리핀은 호주와 영국에 이어 세 번째로, 아시아에서는 처음으로 일본과 RAA를 체결하는 국가가 될 것이다. 

            테오도로 장관은 또한 필리핀이 캐나다와의 방위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양해각서를 작성 중이라고 밝혔다. 

            2024년 1월 29일, 필리핀 데일리 인콰이어러는 샴부 쿠마란(Shambhu Kumaran) 마닐라 주재 인도 대사의 말을 인용하여, 

            필리핀이 “곧” 인도로부터 BrahMos 초음속 크루즈 미사일의 첫 번째 배치를 수령할 것이라고 전했다. 

            필리핀은 2022년에 미사일 구매 계약을 체결했으며, 그 가격은 189억 페소(3억 3440만 달러)였다. 

            또한 필리핀과 미국이 올해 봄에 고위 외교 및 국방 관리들의 회의를 계획하고 있다는 소식도 있다. 

            인터뷰에서 카네기 국제평화재단 아시아 프로그램의 선임 연구원인 엘리나 누르(Elina Noor) 박사는 이들 외부 당사자들이 중국의 남중국해에서의 성장하는 군사력이 지역의 평화와 안전을 불안정하게 하고, 

            그들의 수역 접근을 방해하며, 그들의 지역 이해관계를 방해할 것을 전략적으로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누르 박사는 필리핀과 같은 일부 국가들에게는 이들 외부 당사자들의 이해관계가 시험적인 시기에 보안 보장을 제공한다고 믿지만, 

            다른 국가들에게는 그들의 존재가 더 모호하게 보이며, 에스컬레이션과 의도하지 않은 결과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킨다고 말했다. 

            인터뷰에서 요코스카 아시아태평양 연구회의 해양 보안 코디네이터인 벤자민 블랜딘은 외부 당사자들의 남중국해 참여가 새로운 현상이 아니며, 

            이것이 오늘날 미디어와 관리자들, 특히 필리핀 당국자들로부터 더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모든 측면이 그들의 조치를 강화하고 더 강경해지면서, 앞으로 몇 달 동안 서필리핀해에서의 긴장 상승에 대한 실제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외부 당사자들과의 협력 강화와 무기 구매 외에도, 필리핀은 남중국해에서 필리핀이 통제하는 9개의 섬을 개발하여 필리핀 군인들이 더 살기 좋게 만들 것이다.


            남중국해에서 베트남의 낮은 접근 방식

            남중국해 영토 분쟁에서 다른 주장국인 베트남도 지난해 동안 저조한 행동을 취하면서 미국과 중국 사이의 외교적 균형을 더 신중하게 유지하려고 했다. 

            2023년 9월에는 미국과의 관계를 가장 높은 수준의 파트너십인 포괄적 전략적 파트너십으로 격상시켰고, 12월에는 중국과의 포괄적 전략적 협력 파트너십을 "전략적 의미를 가진 중국-베트남 공동체"로 깊게 만들었다. 

            베트남은 이를 "전략적 의미를 가진 베트남-중국 공동체"로 해석했다. 

            베트남은 또한 필리핀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양국은 이번 주에 남중국해에서 해안 경비대 간의 협력을 강화하여 사건을 예방하기로 합의했다. 

            한편, 베트남은 계속해서 남중국해의 스프랄리 제도(중국에서는 난샤 제도라고 알려져 있음)에서 갯벌 복원과 섬 건설을 진행하고 있다. 

            싱가포르 국립대학교(LKYSPP)의 리콴유 공공정책대학 동아시아 국제관계학과 류용욱(Ryu Yongwook) 교수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남중국해에서의 긴장 고조는 중국-아세안 관계의 발전에 긍정적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더 중요한 영향은 아세안이 더욱 분열되고 파편화될 것이라는 것이며, 남중국해 문제에 대해 중국에 어떻게 접근할지에 대한 일관된 견해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는 덧붙여 "일부 아세안 회원국들은 미국이나 다른 아세안 회원국들이 너무 강경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고 비난할 것이며, 

            반면에 다른 회원국들은 중국의 팽창적인 주장과 공격적인 군사 행동에 대항하기 위해 다른 아세안 회원국들로부터의 지원 부족을 비난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fba771e4fc392f42c5309d130e98b48b_1708263142_4123.jpg 

            [베트남이 주장하는 스프랄리 제도 내의 스프랄리 섬의 위성 이미지 (사진: Wikimedia)] 


            전문가들: 올해 남중국해 행동 규범(COC)에 돌파구는 없을 것

            필리핀은 COC 협상을 추진하기 위해 베트남과 말레이시아와 양자 남중국해(SCS) 행동 규범(COC) 협약을 체결할 가능성을 탐구하고 있다. 

            그러나 인터뷰를 받은 모든 전문가들은 올해 COC에 대한 중요한 돌파구를 기대하지 않고 있다. 

            아세안과 중국은 2018년에 법적으로 구속력 있는 COC에 대한 협상 과정을 공식적으로 시작했다. 

            당시 중국의 리커창 총리는 COC 협상을 3년 내에 완료하는 목표를 제시했지만, 6년이 지난 지금도 협상이 결론을 내리기는 아직 멀어 보인다. 

            2023년 7월 아세안-중국 외교장관 회의에서 양측은 COC의 단일 초안 협상 텍스트(SDNT)의 두 번째 읽기가 완료되었다고 발표했다. 

            또한 협상을 가속화하기 위한 일련의 지침 원칙도 채택되었다. 

            인터뷰에서 유소프 이삭(ISEAS-Yusof Ishak) 동남아시아연구소의 이안 스토리(Ian Storey) 선임 연구원은 아세안과 중국은 여전히 COC가 법적으로 구속력을 가질 것인지, 

            그 지리적 범위는 어떻게 될 것인지, 금지 활동의 목록은 어떻게 될 것인지 등 여러 어려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블랜딘(Blandin)에 따르면, 현재의 COC 협상은 그 범위와 최종 사용에 대한 합의를 이루기 어렵기 때문에 중요한 진전을 이룰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중국은 베트남과 필리핀이 이 두 지역에 대한 확고한 입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COC가 서사 제도(베트남에서는 호앙사 제도로 알려져 있음)와 황연섬(필리핀에서는 파나타그 쇼어로 알려져 있음)을 포함하지 않기를 원한다. 

            그는 "중국은 COC가 법적으로 구속력을 가지기를 원하지 않지만, 아세안은 그렇게 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2023년 11월, 기존의 COC 협상에서 진전이 없다는 이유로 필리핀은 말레이시아와 베트남과 별도의 SCS COC를 탐구하려고 제안했다. 

            펭니안(Peng Nian)은 국제관계와 인도-태평양 지역의 해양 보안에 대한 학자로, 동아시아포럼(East Asia Forum) 웹사이트에 게재된 글에서 베트남과 말레이시아가 필리핀에 별도의 COC를 만들자는 제안을 받아들일 가능성이 낮다고 강조했다. 

            필리핀과 달리 베트남은 남중국해에서 중국을 자극하려는 의도가 없으며, 양국 간의 영토 분쟁을 신중하게 관리하면서 양자 관계를 손상시키지 않는 외교를 선호한다. 

            말레이시아는 역사적으로 SCS 분쟁에 대해 비대결적 접근법을 유지해 왔다. 

            류용욱교수는 필리핀의 제안이 중국에게 더 제한적일 가능성이 있는 새로운 제안의 조건으로 인해 구속력 있는 COC를 결론짓기 어렵게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더 요구하는 COC 제안을 가지고 있으면, 특히 중국과 같은 협상 당사자들에게 현재 진행 중인 COC 협상을 받아들일 더 큰 추진력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는 또한 "더 큰 문제는 아세안에게 구속력 있는 COC를 결정하는 유용성이 협상이 시작된 이후 남중국해의 상황, 해양 특성의 개발 및 군사화를 포함하여 많이 변했기 때문에 감소하고 있습니다"라고 덧붙였다.


            fba771e4fc392f42c5309d130e98b48b_1708263142_3534.jpg 

            [2024년 2월 6일, 메트로 마닐라의 마카티에 위치한 중국 영사관 앞에서 중국의 분쟁 중인 남중국해에 대한 공격을 비난하기 위해 시위를 벌이는 시위자들이 플래카드를 들고 있다. (사진: Jam Sta Rosa/AFP)] 


            미국 대선이 남중국해에 미칠 영향

            미국은 남중국해에서 중국에 대한 주 대응 세력이다. 

            올해 다가오는 미국 대통령 선거로 인해 국제적인 우려는 그 결과가 어떻게 미국의 남중국해 정책에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한 것이다. 

            전 미국 대통령인 도널드 트럼프는 미국 대통령직을 다시 강력하게 추구하고 있다. 

            그는 이전 미국 대통령직을 시작할 때 미국의 남중국해에서의 군사적 개입을 줄였지만, 1년도 안 되어서 그의 입장을 강화하였으며, 중국의 주요 해양 주장에 대해 “거의 모든” 것을 거부 입장을 밝히고 있다. 

            미국의 남중국해에서의 분쟁 수역에 대한 항해 자유 작전의 횟수는 오바마 시대의 연간 2~3회에서 2020년에는 9회로 점차 증가하였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2021년에 취임한 이후, 그는 트럼프의 남중국해 정책을 대체로 계속하면서,  4개국 안보 회담(Quad)와 호주-영국-미국(AUKUS) 삼자 보안 파트너십과 같은 메커니즘을 통해 동맹국들과의 지역 협력을 적극적으로 강화하였다. 

            난양기술대학교(NTU) 인문학, 예술 및 사회과학 대학의 학장인 Joseph Liow는 인터뷰에서 미국 대통령 선거가 남중국해의 상황을 크게 바꿀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트럼프와 바이든의 접근법은 둘 다 인정하고 싶어하지 않을 정도로 훨씬 더 유사했습니다.” 

            류용욱 교수는 미국 대통령 선거가 미국의 남중국해 접근 방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지만, 그것은 정부가 바뀌는 경우에만 그럴 것이며, 트럼프가 다시 권력을 잡더라도 미국의 남중국해 정책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예견했다. 

            그는 "우리는 미국이 남중국해에서 더 거래적인 접근법을 취할 수도 있다는 것을 보게 될 수도 있습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지역 국가들로부터 더 많은 기여와 양보를 요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라고 말했다. 

            아루가이(Aries Arugay)박사는 미국의 남중국해 정책이 국내 정치에 의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 지역에서 계속 미국의 개입을 당연히 받아들일 수는 없다고 느낍니다. 

            따라서 “필리핀은 미국이라는 하나의 바구니에 모든 달걀을 넣는 대신 더 다양한 보안 협력을 구축하려"한다고 전했다. 


            ※ ThinkChina는 싱가포르의 미디어 그룹인 SPH Media Limited 및 연합조보(联合早报)가 운영하는 중국에 초점을 맞춘 영문판 온라인 매거진으로, 

                아시아 전역의 중국어 기자 네트워크로부터 얻은 독창적인 내용과 통찰력을 제공하며, 다문화 국가인 싱가포르의 독특한 관점에서 정치, 경제, 문화 발전 등을 조명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단법인 이어도연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