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도 저널 17호<목차>[권두칼럼] 국립해양조사원은 해양과학조사와 해양주권 수호의 토대 (고충석)[기획논단] 국립해양조사원 설립 70주년-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의 구축 과정과 연구, 그리고 향후 비전 (심재설,정진용)- 이어도의 지위 및 해양법적 해석 (김현수)- 이어도를 둘러싼 중국의 야욕 (이춘근)[해양과학연구] 고층 기상관측 자료를 활용한 동중국해의 장마철 대기 열역학적 특성분석 (이동인)[이어도 에세이]-이어도 에세이 동아시아 해상 세력 (부용주)- 이어도 설화'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최미경)- 해양으로의 항해 (…
이어도 저널 16호<목차>[권두논단] 통일 후 이어도 관할권 확보 노력, 어떻게 할 것인가 (고충석)[해양영토 수호와 민간의 역할]- 해양영토 수호와 민간의 역할 중국 해상민병대 실체와 '회색지대 전략' (이서항)- 중국 해상민병의 부상과 일본의 대응 (이상현)- 독도의용수비대의 활동과 현재적 교훈 (이정우)[이어도 국제화와 해양안보]- 이어도 국제화와 해양안보 이어도 국제화와 한반도 대륙과 해양 (김진호)- 동아시아 해양안보환경 변화와 이어도 (허태회)[이어도 역사/문화 에세이]- 탐라, 한반도 (盧領) 이남의 해양왕국…
이어도 저널 15호<목차>[권두논단]-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를 평화와 협력을 위한 플랫폼으로 (한인택)- 해양영토면적 표기와 제2의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건설 (강효백)[기획 논단]- 중국의 일대일로와 미국의 인도-태평양 지역전략 전개 (이지용)- 19차 당 대회이후 중국 군사안보전략 변화 고찰 (정재흥)- 해양국가 일본과 해양지정학 (김숭배)- 대만-일본 어업협정과 댜오위다오 문제 (김중섭)[국정감사 중계] 오영훈의원, 국정감사에서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의 적극적 역할 주문[이어도 에세이]- 최근 중국의 해양인식의 변화와 주변…
이어도저널 제14호<목차>[권두논단] 일본이 부끄러워해야 할 부당한 독도 영유권 주장 (김영수)[기획] 해양분쟁과 이어도 - 이어도의 국제정치 (고봉준)-이어도와 중국의 군사기지 인공섬들 (강효백)-동아시아 해양분쟁과 외교적 협상의 가능성 (고경민)[해양포럼] 해양국가로 돌아가자(5) 한국 해양사의 교훈 (고충석)[이어도 역사/문화 에세이]- 徐福과 제주도 (한인희)- 이어도 문화콘텐츠와 지식체계화 (고경민)[해양경계획정 사건 판례 분석] 코스타리카와 니카라과 간 해양경계획정 사건과 대한민국에의 함의 (이기범)
이어도저널 제13호<목차>[권두논단] 중국의 해양제국주의와 이어도 (강효백)[기획] 동북아 해양분쟁 다시보기- 북방영토(쿠릴열도)와 러-일 관계 (우평균)- 일본정부의 센카쿠열도 국유화 5년, 회고와 전망 (김순임)- 중국의 해양공세와 이어도 문제 (고경민)[해양포럼] 해양국가로 돌아가자(4) 은둔의 조선과 해금, 공도의 시대 (고충석)[해양과학 칼럼] 우리 해역의 해수면 변동 역사와 그 의미 (이은일)[이어도 역사/문화 에세이]- 제주도에서 항복한 삼별초의 슬픈 최후 부영주- 일본 아스카문화 시조, 백제 王仁을 재조명하…
이어도저널 제12호<목차>[이어도칼럼] 해양문화의 가치와 중요성 (손종흠)[기획 논단]- 국민은 이어도 해양주권을 어떻게 보고 있는가? (고경민)- 남중국해 해양 영토 분쟁 : 과거와 현재 (이재현)- 컴퓨터 모델링을 활용한 해양 갈등 분석 (김영준)- 북극해 영유권 갈등과 동아시아 (박영민)[해양포럼] 해양국가로 돌아가자(3) 한국 해양사 : 해양국가의 시대 (고충석)[이어도 역사/문화 에세이]- 소설 이어도 판타지 2 (김문)- 渡來人의 族譜 (부영주)- 탐라국에 세공주가 왔다는 상상의 나라 벽랑국을 찾아서 (채바다)…
이어도저널 제11호<목차>[이어도칼럼] 남중국해 중재판결이 한국에 주는 함의 (강병철)[기획]-중국 언론을 통해 본 중국 해양전략과 이어도 (김진호)-한.중 관계의 불편한 진실 : 사드무제와 불법조업 그리고 이어도 (김근식)-한. 중간 이어도 분쟁화의 다양한 가능성 : '희망적 사고'를 넘어 (고경민)- 북극 변화의 국제정치 : 협력과 경쟁의 이중주 (박영민)[해양포럼] 해양국가로 돌아가자 : 국가발전과 해양인식(2) 일본과 중국의 해양사(고충석)[이어도 역사, 문화 에세이]- 고려시대 제주인은 카미가제를 이긴 海洋族 (…
이어도저널 제10호<목차>[이어도칼럼] 해양의 새로운 가치 (김성진)[기획특집] 한.중해양경계획정 회담- 변화하는 동아시아 정세와 해양, 그리고 이어도 (이수훈)- 미.중 전략경쟁과 동아시아 해양분쟁 그리고 이어도 (허태희)- 동북아 해양과 한국의 해양전략 (김진호)-이어도 문제와 환태평양 해양전략 (주강현)[해양과학 칼럼] : 국가발전과 해양인식(1) 해양의 미래 가치와 잠재력 (고충석)[이어도 역사/문화 에세이]- 한반도와 해상세력Ⅶ (부영주)- 이어도로 보내는 편지Ⅲ (김문)- 바다가 낳은 제주인의 '競爭과 連帶' …
이어도저널 제9호<목차>[이어도칼럼]우리 역사교과서와 '이어도' (부영주)[기획특집] 한.중해양경계획정 회담- 중국의 해양 팽창과 한국 안보에의 함의 (이창형, 박부성)- 2015년 남중국해 둘러싼 미중 갈등 (김중섭)- 남중국해 분쟁과 동아시아 지역갈등 이동운[해양과학 칼럼] 해수면 상승과 지구온난화 (이은일)[역사/문화 에세이]- 한반도의 해상세력Ⅵ (부영주)-삼별초는 오키나와 유구 왕국의 탄생 주역들이다 Ⅲ (채바다)-이어도로 보내는 편지 Ⅱ김문[이어도 인터뷰] 나에게 이어도란?_제주해양경비안전본부 오재홍 경정※ 아…
이어도저널 제8호<목차>[이어도칼럼]- 중국과의 EEZ 협상, 어떻게 할 것인가 (이현출)- 키프로스 배타적경제수역(EEZ) 가스전은 축복이 될 것인가? 저주가 될 것인가? (강병철)[기획특집] 한.중해양경계획정 회담- 한.중해양경계획정 회담의 재가동 (신정승)- 한.중해양경계획정과 이어도 주변수역 (양희철)- 중국의 해양 강국화 전략과 한중 해양경계획정 협상 전망( 이지용)[이어도 역사/문화 에세이]- 한반도의 해상세력 Ⅴ (부영주)- 삼별초는 오키나와 유구 왕국의 탄생 주역들이다 Ⅱ (채바다)- 이어도로 보내는 편지 …